경제공부

한국, 왜 아직도 희토류 80%를 중국에 의존할까? [희토류시리즈 2편]

땨머니 2025. 5. 20. 13:19

한국, 왜 아직도 희토류 80%를 중국에 의존할까?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한국은 첨단 기술 강국이지만, 이 기술들을 움직이게 하는 희토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중 무려 80% 이상이 중국산입니다. 왜 이렇게 됐을까요? 그리고 이 구조는 어떤 위험을 내포하고 있을까요?
 

한국, 왜 아직도 희토류 80%를 중국에 의존할까? (희토류시리즈 2편)

1. 한국의 희토류 수입 구조 – 중국 의존의 현실 

2. 왜 중국에 이렇게 의존하게 되었을까? 

3. 이 구조, 왜 위험할까? 

4. 한국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5. 요약 정리 

추천글

 
 

1. 한국의 희토류 수입 구조 – 중국 의존의 현실 

한국, 왜 아직도 희토류 80%를 중국에 의존할까?

2025년 4월 현재, 산업부 발표 및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 한국의 희토류 수입의 약 83%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중국 83%
  • 일본 9%
  • 미국 4%
  • 기타 국가 4%

이처럼 압도적인 중국 의존은 수입선 다변화가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특히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테르븀 등 핵심 원소는 전량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요.


2. 왜 중국에 이렇게 의존하게 되었을까? 

  1. 가격 경쟁력: 중국은 희토류 가공 기술과 인프라가 세계 최고 수준. 대량 생산으로 가격도 낮습니다.
  2. 공급 일관성: 중국 기업과 장기 계약 구조. 다른 국가들은 불안정하거나 가격이 비쌉니다.
  3. 국내 생산 부재: 한국은 희토류 매장량이 적고, 가공·정제 기술도 제한적입니다.

즉, 현실적으로는 ‘중국산 희토류 없이는 산업이 멈추는 구조’에 가깝죠.


3. 이 구조, 왜 위험할까? 

한국이 희토류 수입을 중국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구조는, 단순히 ‘무역 편중’ 문제가 아닙니다. 중국이 수출 통제를 ‘정치적 무기’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2025년 4월, 중국은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테르븀 등 7종의 희토류에 대해 ‘수출 허가제’를 시행했습니다. 이게 왜 위험하냐면...!
 

① 공급 중단 위험

수출 허가제는 단순한 규제가 아닙니다. 중국 정부가 ‘허가’를 내주지 않으면 수출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 즉, 공급 자체가 막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② 가격 폭등 가능성

공급이 불안해지면 희소성 증가 →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실제로 과거 2010년, 중국이 일본과의 갈등으로 수출을 제한했을 때 희토류 가격이 최대 6배 이상 급등한 사례가 있습니다.
 

③ 산업 전반의 연쇄 충격

희토류는 전기차, 반도체, 풍력터빈, 군수 장비에 모두 들어가는 핵심 자원입니다. 따라서 수출이 막히면 한국의 핵심 산업 생산라인이 멈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2025년, 중국의 희토류 수출 지연으로 로봇 ‘옵티머스’ 생산 일정에 차질을 겪었습니다​.

 
이처럼 ‘중국 의존 구조’는 경제, 산업, 안보 전반에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핵심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한국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1. 비축 확대: 2025년까지 희토류 핵심 원소 100일치 이상 비축 목표
  2. 수입선 다변화: 베트남·호주 등 친미 국가와 협력 추진 중
  3. 재활용 기술 개발: 폐자석·폐배터리에서 희토류 추출 기술에 투자
  4. 국내 가공 기술 육성: 희토류 분리·정제 기술 R&D 확대

예산도 2025년 기준 약 4,000억 원 규모로 확대 편성되었습니다.


5.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중국 의존율 약 83% (2024년 기준)
의존 이유 가격, 가공 기술, 국내 생산 부재
리스크 외교 리스크, 공급 차단, 산업 타격
정부 대응 비축 확대, 수입선 다변화, 재활용 기술

한국은 첨단 기술 강국이지만, 희토류라는 전략 자원 앞에선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중국 의존 배경, 수입 구조, 정부의 대응 전략까지 핵심을 짚어봤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