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미국증시요약]2025년 5월 6일-무역협상 기대·관세 혼선 속 혼조 마감

땨머니 2025. 5. 7. 10:48

[미국증시요약]2025년 5월 6일-무역협상 기대·관세 혼선 속 혼조 마감

5월 6일 미국 증시는 하루 종일 요동친 하루였습니다. 장중에는 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긴장감이 커지며 안전자산 선호가 강해졌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했습니다. 그러나 장 마감 후 무역협상 재개 보도가 나오자 선물시장에서 반등 흐름이 포착됐습니다. 오늘은 미국 주요 지수, 섹터 흐름, 투자심리 지표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오늘의 시장 한줄 요약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장을 짓누른 가운데, 미·중 무역협상 재개 기대감이 동시에 작용하며 증시는 하락 마감했지만, 장 마감 이후에는 반등에 대한 기대가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였습니다.


주요 지수 및 자산 흐름 요약

항목 지수 변동폭
S&P 500 5,606.91 ▼ -0.77%
다우존스 40,829.00 ▼ -0.95%
나스닥100 19,791.35 ▼ -0.88%
러셀2000 1,983.19 ▼ -1.05%
2년 국채 수익률 3.785%
10년 국채 수익률 4.298%
달러 인덱스 99.229
$3,441.80
WTI 유가 $59.00
천연가스 가격 $3.483

오늘의 주요이슈 요약

1.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 시장 혼란 가중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 후 “우리는 협정을 반드시 체결할 필요는 없다”며 기존 무역협상 기대감과 배치되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특히 협정 없이도 높은 관세를 통해 원하는 조건을 끌어내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시장은 무역전쟁 장기화 우려 속에 약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2. 미국-중국 무역협상 재개 기대감

시장이 마감된 이후, 재무장관과 무역대표부(USTR)가 이번 주 스위스에서 중국 측과 만남을 가질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선물지수는 반등세를 나타냈습니다. 시장은 불확실성 속에서도 대화 재개 자체에 의미를 두며 긍정적인 시각을 일부 회복하는 모습이었습니다.

 

3. 안전자산 선호 확대, 국채 강세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여파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주식보다 안전자산으로 이동했습니다. 이날 10년물 국채 금리는 4.298%까지 하락했으며, 420억 달러 규모의 국채 경매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4. 테슬라, 유럽 판매 부진에 하락

테슬라는 4월 영국과 독일에서의 신차 판매가 2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보도가 나오며 1.8% 하락했습니다. 유럽 내 전기차 수요 둔화 조짐은 단기적인 성장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습니다.

 

5. 제약·백신 관련주 동반 약세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수입에 대한 관세를 시사하면서 일라이 릴리, 머크 등 대형 제약주가 하락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백신·마스크 의무화를 비판해온 인물이 FDA 산하 기관 수장으로 임명되며, 백신 관련 종목은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6. 투자자 관망세 확대, 심리 불확실

22V리서치 등 주요 기관은 투자자들이 FOMC 결과와 실질적인 무역 협정 발표를 기다리며 적극적인 매수에 나서지 않는다고 평가했습니다. 시장 전체가 숨 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관세와 금리 정책이라는 이중 변수로 인해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S&P500 섹터맵 요약

[미국증시요약]2025년 5월 6일-무역협상 기대·관세 혼선 속 혼조 마감, Finviz S&P500 Map
출처: Finviz S&P500 Map

  • 강세 섹터: 에너지, 유틸리티
  • 약세 섹터: 헬스케어, 소비재, 반도체

이날은 전반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반등으로 에너지 섹터가 방어적 흐름을 보였습니다. 다만 기술, 헬스케어 등 성장주는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CNN Fear & Greed Index 투자심리 지표

[미국증시요약]2025년 5월 6일-무역협상 기대·관세 혼선 속 혼조 마감, CNN Fear & Greed Index, 투자심리지표, 공포탐욕지수
출처: CNN Fear & Greed Index

  • CNN Fear & Greed Index: 57점 (Greed)

시장은 여전히 낙관적인 흐름이지만, 변동성 요인이 늘고 있어 경계가 필요한 구간입니다 .


오늘의 시장 해석

지금 시장은 ‘관세 불확실성’과 ‘무역협상 기대’가 교차하며 방향성을 잃은 모습입니다. 연준의 금리 결정이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당분간은 정책과 관련된 발언 하나하나가 시장을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큽니다. 한편, 폴 튜더 존스 같은 주요 투자자들도 “관세 완화가 단기적으로 증시에 긍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처럼 단순히 ‘협상 재개’만으로 낙관하기보다는 전반적인 정책 기조와 실적 흐름을 함께 살펴야 할 시점입니다. 


내일 주목할 포인트

  • FOMC 회의 결과 및 파월 의장 발언
  • 반도체·빅테크 기업 실적 발표 예정
  • 국제 정세 불안(인도-파키스탄) 관련 후속 뉴스

출처

  • CNBC, Bloomberg, WSJ, Reuters, CNN Fear & Greed Index, Finviz Sector Map

관련 참고글 추천

[미국증시요약]2025년 5월 7일-금리 동결, 반도체 훈풍, 무역 협상 기대

 

[미국증시요약]2025년 5월 7일-금리 동결, 반도체 훈풍, 무역 협상 기대

미국 증시는 5월 7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동결, 반도체 규제 완화 기대감, 그리고 미·중 무역협상 재개 가능성 등 다양한 재료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기술주와 통신주가 상승

ddazzing.tistory.com

 

[미국 증시 요약]2025년 5월 1일-기술주 실적과 무역 기대감에 상승, S&P500·나스닥 동반 반등

 

[미국 증시 요약]2025년 5월 1일-기술주 실적과 무역 기대감에 상승, S&P500·나스닥 동반 반등

5월의 첫 거래일, 미국 증시는 기술주 실적 호조와 무역 정책 완화 기대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가 발표한 탄탄한 실적이 시장 심리를 단단히 지지했고, 일부 경제

ddazzi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