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는 4월 29일 화요일, 다양한 변수 속에서도 상승세를 지켜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완화 조치 발표와 기업들의 기대 이상의 실적, 그리고 금리 하락이 시장에 긍정적인 바람을 불어넣었습니다. 다만, 소비자 신뢰 지수의 하락과 무역적자 확대는 경기 회복세에 대한 경계심을 남겼습니다. 오늘 하루, 주요 지수부터 섹터 흐름, 투자심리까지 꼼꼼히 짚어드립니다.
오늘의 시장 한줄 요약
기술주 랠리와 금리 안정, 그리고 무역 정책 변화 기대감이 증시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시장 주요 지수 요약
항목 | 수치 | 변동폭 |
S&P 500 | 5,560.83 | ▲ +0.58% |
다우존스 | 40,527.62 | ▲ +0.75% |
나스닥100 | 19,544.95 | ▲ +0.61% |
러셀2000 | 1,976.52 | ▲ +0.56% |
2년 국채 수익률 | 3.656% | ▼ |
10년 국채 수익률 | 4.172% | ▼ |
달러 인덱스 | 99.179 | ▲ |
금 가격(온스당) | 3,327.60 | ▼ |
WTI 유가 | 60.14 | ▼ |
천연가스 | 3.380 | ▲ |
오늘의 주요 이슈 요약
1.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관세 완화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완성차 산업을 보호하면서도 공급망을 고려한 절충안을 제시했습니다.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중복 관세 적용을 피하고, 미국 내 생산에 필요한 부품의 관세를 줄이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입니다. 이는 제조업 비용 부담 완화로 이어질 수 있는 조치로, 시장은 이를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했습니다.
2. 무역 협상 관련 정부 인사 발언 요약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국은 협상에 열려 있지만, 책임 있는 행동은 상대방에게 있다”며 무역 분쟁 책임을 중국에 돌리는 한편, “공급망의 큰 혼란은 예상치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특정 국가는 밝히지 않았지만 “무역 협상은 이미 합의에 도달했고, 상대국 의회의 절차만 남았다”고 언급하며 협상이 곧 마무리될 수 있다는 기대를 키웠습니다.
3. 기업 실적 발표
- 허니웰과 셔윈-윌리엄스, 코카콜라 등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해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반면, 장 마감 후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고객의 주문 연기와 재고 충당금 증가 등의 영향으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며 시간 외 거래에서 하락했습니다.
4. 경제 지표: 무역적자 확대와 소비심리 위축
- 미국의 3월 상품 무역적자는 관세 시행을 앞둔 기업들의 사전 재고 확보 여파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했습니다.
S&P500 섹터 맵 요약
- 강세 섹터: 기술(Tech),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Services)
→ 특히 반도체, 클라우드 관련 종목이 급등세 - 약세 섹터: 헬스케어(Healthcare), 유틸리티(Utilities)
Fear & Greed Index 투자심리 지표
- CNN Fear & Greed Index 현재 수치 : 38 (Fear 단계)
시장 심리는 여전히 조심스럽습니다. 연준의 스탠스, 관세 정책 리스크, 소비지표 둔화 등 다양한 불확실성 요인이 심리적 저항선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 시장 해석
이날의 상승은 단기적 반등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무역 정책과 금리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지탱하고 있지만, 소비 위축과 기업 비용 상승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앤서니 사글림베네는 “관세 정책의 영향이 실제 지표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고, 로렌 굿윈은 “정책 리스크는 이미 가격에 반영됐지만, 이익 예측이 여전히 불안정하다”며 변동성 지속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앤드루 브레너는 “시장에는 여전히 트럼프 정부의 지지책(‘트럼프 풋’)과 연준의 긴축 완화 기대(‘연준 풋’)가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처럼 상승장이더라도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냉정함과 경계심이 동시에 필요한 시점입니다.
내일 주목할 포인트
- 4월 PCE 물가지표 발표
- 마이크론, AMD 등 반도체주 실적 발표 예정
- 주요 대형 은행 실적 발표
출처
- CNBC, Bloomberg, WSJ, CNN Fear & Greed Index, Finviz S&P500 Map
관련 참고글 추천
[미국증시요약]2025년 4월 30일-GDP 충격 속 기술주 강세, 투자심리는 여전히 ‘공포'
[미국증시요약]2025년 4월 30일-GDP 충격 속 기술주 강세, 투자심리는 여전히 ‘공포'
2025년 4월 30일 미국 증시는 장 초반 급락세를 극복하고 상승 마감했습니다. 1분기 GDP 마이너스 성장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지만, 일부 기술주의 호실적과 무역협상 기대감이 저가 매수세를
ddazzing.tistory.com
[미국증시요약]2025년 04월 28일-제조업 부진과 무역 우려 속 혼조 마감
[미국증시요약]2025년 04월 28일-제조업 부진과 무역 우려 속 혼조 마감
4월 28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장 초반엔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가격이 많이 내려가자 다시 주식을 사려는 움직임이 많아지면서 시장이 회복했습니다. 주요 기업 실적과
ddazzing.tistory.com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요약]2025년 4월 30일-GDP 충격 속 기술주 강세, 투자심리는 여전히 ‘공포' (4) | 2025.05.01 |
---|---|
[트럼프 경제정책 완전정복 ①] 트럼프 시대, 미국 경제는 어디로 향할까 (2) | 2025.05.01 |
[땨머니의 경제노트] CPI를 통해 본 투자 흐름과 전략 (2) | 2025.04.30 |
고금리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까? 생활·투자 전략 총정리 [미국 금리 시리즈 3편] (3) | 2025.04.29 |
[미국증시요약]2025년 04월 28일-제조업 부진과 무역 우려 속 혼조 마감 (2) | 2025.04.29 |